플랫폼시티란?
플랫폼 시티란 말을 처음 들어보셨나요?
도시재개발이나 재건축은 많이 들어봤는데 플랫폼 시티는 생소하시죠??
이번 글을 통해서 플랫폼 시티 개념을 어느정도 경험해 보는것도 좋을듯합니다.
플랫폼이란 역사의 승강장, 단상, 기초, 기반 구획된 땅의 형태로 다양한 용도에 쓰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플랫폼시티는 어떤 개념일까요?
플랫폼 시티는 이러한 플랫폼 개념을 도시에 적용한 것으로, 첨단산업, 교통, 주거, 문화, 복지 등 다양한 활동의 융복합 자족도시입니다. 기존의 신도시와 달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협력하여 공공성과 경제성을 모두 추구하는 도시개발 방식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시티의 장점과 단점
장점
- 경제자족도시 구현: 첨단산업 중심의 구조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합니다.
- 교통 허브 역할: GTX, 지하철, 고속도로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연계되어 수도권 남부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환경친화적 도시 구축: 그린뉴딜, 녹색경제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혁신과 창조: 콘텐츠,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신기술 접목으로 창조적인 도시를 구축합니다.
단점
- 예산 부족 및 지연 위험: 복잡한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예산 부족이나 지연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공공-민간 협력의 어려움: 협력이 원활하지 않으면 사업 추진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역 갈등과 환경 파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지역 갈등이나 환경 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시티의 사례와 전망
국내 사례
- 용인 플랫폼 시티: 275만㎡ 규모로 2022년 착공, 2029년 준공 목표입니다.
해외 사례
- 싱가포르 플랫폼 시티: 2019년부터 2040년까지 2조 달러를 투자하여 지하와 공중을 활용한 새로운 도시공간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결론
플랫폼 시티는 미래 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과 활동이 융합되고 협력하는 도시로서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도시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복잡하고 어려운 도전과제도 많으므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전문가의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사업 추진이 필요합니다. 플랫폼시티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 기대되는 시대입니다.
같이보면 좋은글(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