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 주식 선정(HMM 주식 분석)
저평가된 주식인지 HMM 선정하고 분석하였습니다
2023년 7월 기준 HMM 주가 19,000원 정도 입니다
산정 방식은 인공지능 챗봇(ChatGPT)을 활용하였습니다
이 글은 주식 투자를 종용하거나 특정 주식을 추천하려는 목적이 아닙니다
인공지능 언어를 가지고 선정된 정보의 결과가 향후 어떻게 될지
연구 및 실험 차원의 목적을 두는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저평가 주식 선정 방식
저평가 주식을 찾기 위한
아래 3가지 인공지능 챗봇(ChatGPT) 도구를 활용하였습니다
‘OpenAI(GPT-3)’, ‘Monica(GPT-3), ‘Bing(GPT-4)’
저평가 주식 도출 방법은
위에 3가지 인공지능 챗봇에게 수십개의 질문으로 유도하고
질문에 대한 대답 정보를 가지고 분석하였습니다
수십개의 질문은 주식 투자 개인 및 기관에게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공개하지는 않겠습니다
단 도출 과정은 정보의 투명성을 위해 상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저평가 주식 도출 과정
인공지능 챗봇에게 아래 5개의 저평가된 주식을 추천받았습니다
저평가 주식 5개 추천
아래 내용은 챗봇 대답 일부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저는 웹 검색을 통해 2023년 기준 저평가된 우량주로 추천되는 종목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다음은 그 중에서 5개의 종목을 임의로 선정한 것입니다.
- HMM : 해운업계의 성수기와 해상 운임 상승으로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기업입니다. PER 4.8, PBR 1.1, ROE 23.6으로 저평가되었다고 평가됩니다
- 세방 : 항만하역, 화물운송, 냉동냉장 보관 등의 물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PER 7.8, PBR 0.9, ROE 11.9으로 저평가되었다고 평가됩니다
- 하나금융지주 : 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하나카드, 하나생명보험 등을 보유한 금융그룹 지주회사입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효과와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입니다. PER 5.2, PBR 0.5, ROE 10.2로 저평가되었다고 평가됩니다
- LX인터내셔널 : 에너지/팜, 생활자원/솔루션, 물류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산업재/솔루션 기업입니다. PER 7.9, PBR 0.8, ROE 10.3으로 저평가되었다고 평가됩니다
- 쿠쿠홈시스 : 전기 밥솥 제조업체로, 쿠쿠전자의 일원입니다. PER 13.6, PBR 2.6, ROE 19.4로 저평가되었다고 평가됩니다
이상이 제가 추천해 드리는 저평가된 주식 5개입니다. 참고로 이것은 단순한 정보 제공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스스로 공부하시고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위에 로봇이 말한것처럼 단순한 정보 제공이지 권유가 아니라는거 유의해 주세요
로봇이 추천해준 5가지 중에 HMM 선정하고 분석하였습니다
저평가 주식 HMM 분석
저평가를 판단하기 위해 참조해야 할 지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ER, PBR, ROE 등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이 또한 로봇이 알려주었습니다.
그럼 PER, PBR, ROE는 무엇일까요 ?
PER (Price-to-Earnings Ratio) : 주가가 기업의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높은 PER은 주가가 기업의 이익에 비해 고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낮은 PER은 반대로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PBR (Price-to-Book Ratio) : 기업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PBR이 1보다 낮으면 주가가 순자산 대비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고, PBR이 1보다 높으면 주가가 순자산 대비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ROE (Return on Equity) :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게 배분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높은 ROE는 기업이 효율적으로 자본을 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주 입장에서는 높은 ROE이 유리하며, 주식투자자들은 기업의 ROE을 평가하여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2023년 HMM의 재무재표의 PER, PBR, ROE를 챗봇에게 질문하였습니다
아래 화면 보시면 ROE 6.04, PER 7.42, PBR 0.44 입니다
우선 PBR은 0.44 이니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에 PBR 설명에서 1보다 적으면 저평가로 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ROE는 6.04 입니다
코스피 주식 삼성전자 11.19%, SK하이닉스 9.73%, LG 화학 8.51% 보다 낮습니다
해운업체 평균 11.91% 보다 낮습니다
참고로 ROE는 수익률이기 때문에 높을수록 좋습니다
PER은 7.42 입니다
PER은 동종업계 안에서 비교하는 게 좋습니다
동종업계 평균이 6.81 입니다
HMM은 평균보다는 높습니다
참고로 PER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HMM은
(ROE 6.04, PER 7.42, PBR 0.44)
PBR은 1보다 작아 저평가 요인이고
ROE는 평균보다 낮아서 평균보다는 다소 고평가로 보입니다
PER는 평균보다 높아서 평균보다는 다소 고평가로 보입니다
해운업체의 2023년 현황과 2024년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현황 및 실적 ?
2023년 상반기 해운업체의 순이익은 432억 달러로, 2022년 대비 크게 감소했으나, 여전히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컨테이너선의 평균운임은 2022년 하반기 대비 41% 이상 감소했으며, 선주들의 관망세가 확산되어 신규 선박 수주도 위축되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컨테이너선의 평균 선속은 13.85 노트로, 2022년 대비 4.4% 감소했으며, 선사들은 연료비 절감과 환경규제 대응을 위해 항로를 바꾸거나 선속을 낮추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원유운반선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반사이익을 누린데 이어 재고보충과 미국생산량 증가로 평균운임이 다소 상승했습니다
2024년 전망 ?
2024년 해운업체의 순이익은 2023년 대비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컨테이너선사는 적자전환이 가능하다1.
2024년 컨테이너선의 평균운임은 2023년 대비 13.7%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며, 선주들의 관망세가 확산되어 신규 선박 수주도 위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컨테이너선의 공급증가율은 10.3%로 공급초과가 심화될 전망이며, 선사들은 연료비 절감과 환경규제 대응을 위해 항로를 바꾸거나 선속을 낮추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2.
2024년 벌크선 시장은 철광석 물동량에 회복신호가 감지되고, 곡물/석탄 등도 긍정적 신호가 포착되며, 바닥국면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내용 요약해보면 흑자는 되었으나 평균운임비 감소로 위축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미국생산량 증가로 평균운임이 다소 상승하였다고 합니다
결국은 평균 운임비가 2022년 대비 41% 감소하였으니
해운업체의 주가에 반영되어 주가가 하락 된 것입니다.
2024년 전망은 해운업체 순이익이 감소하고
평균운임이 13.7%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저평가 주식 HMM 결과 도출
HMM 여기까지만 분석하겠습니다
좋은 결과가 도출되었다면 더욱 상세하게 분석하였을 것입니다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하여 분석하니
결과가 어떤거 같나요?
비관적이신가요? 아니면 낙관적이신가요?
제가 여기서 어떤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투자를 종용하거나 추천하는 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 챗봇의 모든 정보가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팩트 확인을 위해서라도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래서 위에 내용과 실제 정보가 다를 수 있습니다
로봇 자체도 단순한 정보이며 투자권유가 아니라고 대답하였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챗봇의 결과에도 사람마다 의견차이가 있습니다
챗봇 정보의 검증 없이 오로지 결과에 의한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우선 HMM의 주가(19,000원)는 저평가로 보이긴 합니다
단 2023년보다는 2024년이 더 저평가 될 가능성이 보입니다
그렇다면 투자 시점은 더 저평가되는 2024년이 아닐까요?
2025년 전망에 따라 다르겠지만
2024년까지 내리막을 보이다가 어떤 기점으로 인해 상승세를 탈거 같습니다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될거 같습니다
내년 결과가 어떻게 될지 매우 궁금합니다
투자를 권하는게 아니니 같이 눈요기로만 지켜봐주세요
같이 보면 좋은글(바로가기)